반응형

나무의사 시험 대비 식물병 진단법 핵심 요약 노트
[11회 기출]- 병리학
4. 수목 병 및 병원체 진단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습식 처리법은 곰팡이 감염이 의심될 때 주로 사용한다.
② 광학현미경으로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봉입체를 관찰할 수 있다.
③ 곰팡이에 의한 병 중에도 '코흐의 원칙'을 적용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④ 면역학적 진단을 하려면 대상 병원체에 대한 항혈청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⑤ 썩고 있는 뿌리를 DAPI로 염색하여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하면 감염 여부를 알 수 있다.
수목의 병 및 병원체 진단법
1. 형태학적 진단 (눈 또는 현미경)
- 육안 진단
- 외부 병징: 모자이크, 위축, 오갈병(잎 쭈글쭈글) 등 관찰
- 내부 병징: 줄기 절단 후 도관, 조직의 변색 확인 (주로 세균, 곰팡이)
- 병원체 징후:
- 균총(Colony): 세균 집락
- 자실체(Fruiting body): 곰팡이의 버섯 같은 번식 기관
- 포자(Spore): 곰팡이의 번식체
- ※ 바이러스는 봉합체(Inclusion body)를 형성하나 현미경 관찰 필요
- 현미경 진단
- 해부현미경: 곰팡이, 선충 관찰
- 광학현미경: 세균, 곰팡이, 파이토플라스마 관찰
- 형광현미경: 파이토플라스마 (DAPI 염색), 아닐린 블루(캘로스)
- 주사전자현미경(SEM): 곰팡이, 세균의 표면 입체 구조 관찰
- 투과전자현미경(TEM): 바이러스 입자, 파이토플라스마, 세균 내부 구조 및 부속사 관찰
2. 배양적 진단 (병원균 배양)
- 습식 처리법 (Wet Chamber)
- 대상: 곰팡이
- 방법: 페트리디쉬에 젖은 여과지 + 식물체 놓고 배양하여 곰팡이 발생 유도
- 목적: 병반에서 포자 형성을 유도하여 동정 용이
- 영양 배지법
- 대상: 곰팡이, 세균
- 방법: 인공 배지(PDA, NA 등)에 병원균을 접종하여 분리, 배양
- 목적: 순수 분리 및 동정
3. 생화학적 & 면역학적 진단
- 화학적 진단
- Gram 염색: 세균을 그람 양성(보라색)/음성(붉은색)으로 구분하는 핵심 동정법
- 황산구리법: 일부 바이러스(예: 감자 모자이크 바이러스) 감염 조직의 화학 반응 이용
- 생물학적 진단
- 지표식물(검정식물) 검정: 특정 바이러스에 특이적 반응을 보이는 식물에 접종하여 감염 여부 확인
- 면역학적 진단 (항원-항체 반응)
- 원리: 항혈청(항체)을 이용해 특정 병원균(항원)을 검출
- 종류:
- 응집 반응 / 침강 반응
- 면역확산법
- IF법 (면역형광법)
- ELISA (면역효소 항체법): 가장 널리 쓰임
- ISEM (면역전자현미경법)
4. 분자생물학적 진단 (유전자 분석)
- PCR (중합효소 연쇄반응)
- 원리: 병원체의 특정 DNA/RNA를 대량 증폭하여 검출
- 대상: 바이러스, 세균, 곰팡이, 파이토플라스마 등 거의 모든 병원균에 적용 가능 (고감도, 고특이성)
-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
- 16S rRNA 유전자 분석: 세균, 파이토플라스마 동정에 핵심적인 방법
- ITS 영역 분석: 곰팡이 동정에 주로 사용
※ 파이토플라스마(Phytoplasma) 진단법 종합
- 현미경:
- DAPI 시약을 이용한 형광현미경 관찰 (체관부에서 형광 발현)
- 아닐린 블루 염색 후 형광현미경 관찰 (캘로스 축적)
- Dienes 염색 후 광학현미경 관찰
- **투과전자현미경(TEM)**으로 형태 직접 확인 (세포벽이 없음)
- 분자진단:
- PCR (가장 보편적이고 확실한 방법)
- DNA probes, RFLP
-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
🔬 나무의 면역 시스템
나무가 서로 대화한다고? 믿기 힘든 나무의 비밀 7가지
나무 병해를 진단하는 방법을 배우면서, 나무가 얼마나 정교한 방어 시스템을 가졌는지 알게 됩니다. 나무는 병원균 공격을 감지하면 즉시 경고 신호를 보내고, 주변 나무들도 방어 물질을 미리 준비합니다!
나무의 자기방어 시스템 알아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