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나무 살리는 뿌리 건강 가이드: 주요 뿌리병해 총정리
심층 분석: 주요 수목 뿌리썩음병의 종류와 특징
수목의 뿌리병은 그 원인과 특성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특히 병원균의 공격력이 강해 발생하는 병원 우점병과, 나무의 쇠약이 주된 원인이 되어 병원균이 침입하는 기주 우점병으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주요 뿌리썩음병을 이 분류에 맞춰 심층적으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1. 병원 우점병 (Pathogen-Dominant Diseases)
병원균 자체의 병원성이 매우 강하여 건강한 나무도 쉽게 감염시키는 뿌리병입니다. 주로 토양 환경이 병원균에 유리하게 조성될 때 대규모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가. 모잘록병 (Damping-off)
병원균: Rhizoctonia*, Pythium, Fusarium 등 여러 토양 곰팡이
주요 특징
주로 파종한 종자나 어린 묘목(유묘) 단계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합니다. 병원균이 지표면과 맞닿는 어린 줄기나 뿌리를 공격하여 조직을 썩게 만듭니다. 이로 인해 묘목이 잘록하게 쓰러져 죽기 때문에 '모잘록병'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증상
* 파종 후 싹이 트지 않거나, 싹이 튼 직후 땅 위로 나오지 못하고 죽습니다.
* 어린 묘목의 지제부(땅과 닿는 부분)가 갈색으로 변하며 물러 썩습니다.
* 묘목이 힘없이 쓰러져 말라 죽으며, 묘상(모판) 전체로 빠르게 번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환경
주로 과습하고 통풍이 불량한 묘상에서 발생하기 쉽습니다.
나. 파이토프라 뿌리썩음병 (Phytophthora Root Rot)
병원균:** *Phytophthora* 속(屬) 역병균
주요 특징
역병균은 물을 매우 좋아하는 난균류(Oomycetes)로, 특히 배수가 불량하고 과습한 토양에서 폭발적으로 증식합니다.
유주자(zoospore)라는 편모를 가진 포자를 만들어 물을 따라 이동하며 뿌리를 침해하므로 전염 속도가 매우 빠릅니다.
증상:
* 초기에는 잎이 시들고 누렇게 변하며 생장이 급격히 둔화됩니다.
* 뿌리가 검은색 또는 암갈색으로 변하며 물러 썩습니다.
* 지제부의 수피(껍질)를 벗겨보면 형성층이 붉은 갈색으로 변색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병이 진전되면 나무 전체가 급격히 고사합니다.
다. 리지나 뿌리썩음병 (Lignosus Root Rot)
병원균 *Rigidoporus lignosus*
*주요 특징
이 병은 '리지나뿌리썩음병'보다 '흰색실뿌리썩음병'으로 더 잘 알려져 있으며, 병원균의 이름에서 유래했습니다. 병원성이 매우 강하며, 특히 소나무, 잣나무 등 침엽수림에서 산불 발생 후 조림한 곳에서 큰 피해를 줍니다. 산불로 인해 토양의 물리·화학적 성질이 변하고 유익한 미생물이 사멸하면서 병원균이 급격히 증식하기 때문입니다.
증상:
* 감염된 나무는 급격히 쇠약해지며 잎이 붉게 변해 고사합니다.
* 뿌리 표면에 흰색의 두꺼운 균사 다발이 뿌리를 감싸고 뻗어 나갑니다.
* 땅속에서는 이 균사 다발이 주변 나무의 뿌리로 직접 뻗어가며 병을 전염시킵니다.
* 피해지 주변 땅을 파보면 특징적인 흰색 균사 다발을 쉽게 관찰할 수 있습니다.
2. 기주 우점병 (Host-Dominant Diseases)
나무(기주)가 스트레스, 노화, 다른 병해충 피해 등으로 쇠약해졌을 때, 평소에는 병을 일으키지 못하던 약한 병원균이 침입하여 발생하는 병입니다.
가. 아밀라리아 뿌리썩음병 (Armillaria Root Rot)
병원균:Armillaria* 속(屬) 뽕나무버섯균
주요 특징
대표적인 기주 우점병으로, 건강한 나무는 저항성을 갖지만 이식 스트레스, 가뭄, 다른 병충해 등으로 나무가 쇠약해지면 쉽게 감염됩니다. 죽은 나무나 그루터기에서 생존하다가 뿌리 접촉이나 땅속의 검은색 균사 다발(Rhizomorphs)을 통해 주변의 살아있는 나무로 전파됩니다.
증상
* 나무가 서서히 쇠약해지며 수관 상부부터 가지가 말라 죽고 잎이 작아집니다.
* **가장 특징적인 진단 포인트**는 지제부의 수피를 벗겼을 때 나타나는 **부채 모양의 흰색 균사막(Mycelial fan)**입니다.
* 가을철 비가 온 후 감염된 나무의 그루터기나 뿌리 주변에서 식용버섯인 뽕나무버섯이 다발로 발생합니다.
나. 안노섬 뿌리썩음병 (Annosum Root Rot)
병원균:Heterobasidion annosum
주요 특징:
전 세계적으로 침엽수림에 막대한 피해를 주는 병입니다. 주로 벌채나 가지치기 등으로 생긴 그루터기나 상처 부위에 포자가 날아와 정착한 후, 뿌리 접촉을 통해 주변의 건강한 나무로 퍼져나갑니다.
증상
아밀라리아뿌리썩음병과 같이 수년에 걸쳐 나무가 서서히 쇠약해지는 증상을 보입니다.
뿌리 내부의 목질부가 썩어 공동이 생기므로, 바람에 쉽게 쓰러지는 풍도(Windthrow) 피해를 유발합니다.
감염된 그루터기나 뿌리 주변에서 버섯(자실체)이 형성되는데, 표면은 갈색이고 아랫면은 흰색 또는 크림색이며 미세한 구멍이 촘촘히 나 있습니다.
다. 자주날개무늬병 (Violet Root Rot)
병원균:Helicobasidium mompa
주요 특징:
과수원에서 특히 문제가 되는 병으로, 사과, 배, 포도, 뽕나무 등 다양한 활엽수에 피해를 줍니다. 쇠약한 나무를 주로 공격하며, 토양 표면 가까이에 있는 뿌리를 중심으로 발생합니다.
증상:
* 감염된 나무는 생육이 불량해지고 잎이 황변하며 조기 낙엽이 집니다.
* 뿌리 표면에 **자주색 또는 자갈색의 펠트(felt) 같은 균사막**이 덮여 있는 것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
* 병이 진전되면 뿌리껍질과 목질부가 썩어 나무가 고사합니다.
3. 기타 뿌리썩음병
가. 흰날개무늬병 (White Root Rot)**
병원균:Rosellinia necatrix
주요 특징:자주날개무늬병과 함께 과수 및 조경수의 주요 뿌리병으로 꼽힙니다. 다양한 수종을 공격하며, 병든 식물체의 잔재나 토양 속에서 균사 상태로 오랫동안 생존할 수 있습니다.
증상:
* 자주날개무늬병과 유사하게 생육 부진, 황화, 조기 낙엽 증상을 보입니다.
* 뿌리 표면과 주변 토양 입자 사이에 **흰색의 균사 다발**이 그물처럼 퍼져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 병든 부위에서는 특징적인 버섯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나. 구멍장이버섯류에 의한 뿌리썩음병 (Root Rot by Polypores)
병원균:영지버섯(*Ganoderma*), 덕다리버섯(*Laetiporus*) 등 다양한 구멍장이버섯류
주요 특징:이 버섯들은 주로 죽은 나무를 분해하는 부생균이지만, 나무가 쇠약해지면 살아있는 나무의 뿌리나 줄기 기부를 침해하여 심재(심부 목재)를 썩히는 **'심재썩음병(Heart rot)'**을 일으킵니다.
증상:
외부 증상은 수년간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나, 내부 목재는 점차 부패하여 공동이 생깁니다.
* 나무의 지탱력이 약해져 강한 비바람에 줄기가 부러지거나 나무 전체가 쓰러질 위험이 커집니다.
* 병이 상당히 진행되면 나무의 지제부나 뿌리 주변에서 **영지버섯, 덕다리버섯 등 단단하고 특징적인 모양의 버섯(자실체)**이 발생하며, 이는 내부 부패가 심각하다는 신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