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수목병리학19 수목병의 발생 수목에게 병을 발생시키는 전염원은 곰팡이, 세균, 바이러스, 파이토 플라스마, 선충들이 원인이 될 수 있다. 병삼각형요인: 병원체(발병력, 밀도), 예를 들어 병원균의 병원력이 크거나(고병원성) 밀도가 높으면 변의 길이가 길어짐환경(발병을 조장하는 조건) 총합기주수목: 기주인 수목이 병원체에 대해 감수성이 크면 변이 길어짐, 반대로 저항성인 경우 변의 길이가 줄어든다. 이 세 가지 요인 중 어느 하나라도 수치가 0 이 되면 병은 발생하지 않는다. 만약 기주인 수목이 병원체에 대하여 면역인 경우에는 변의 길이가 0이 되므로 병원체가 존재하고 환경이 병 발생에 적합하다고 할지라도 병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병원체의 병환 (disease cycle)접종 innoculation -> 접촉침입 invasio.. 2025. 1. 25. 식물도 건강검진이 필요하다? 병원체 진단법 총정리 식물 진단법의 종류: 육안관찰, 배양적진단, 생리화학적 진단, 해부학적 진단, 현미경적 진단, 면혁학적(혈청학적 진단), 분자 생물학적 진단 가. 육안관찰: 맨눈으로 관찰 나. 배양적 진단: 조사를 하다 보니 죽었다 그럼 번거로움을 없애기 위해 인위적으로 병원체들을 증식시키는 것이 배양이다. 1. 여과지 습실처리법병징이나 표징이 나타나지 않을 때 사용수입종자 검역시 가장 많이 사용한다멸균된 페트리접시에 여과지를 2 장 넣고 멸균 수로- 여과를 시킨다는 말은 걸러낸다는 의미다. 멸균수로 적시는데 이것은 무균의 물을 의미함. 거기에 병든 식물체를 올려두고. 그럼 3-7일 뒤에 물과 혼합이 되는데 물들은 가라앉고 미생물 증식이 일어남 그것을 관찰하는 것- 다시 이야기해서 먹을 것을 그대로 가져와서 키우는 방.. 2025. 1. 25. 우리나라 수목병의 역사 및 연구 수목병의 역사 하티그: 균사 수목병의 아버지라 불림, 균사와 자실체와의 관계가 처음으로 밝혀짐 우리나라 수목 병리학의 발달 서유구(1764-1845) : 행포지, 배나무 붉은 별 무늬병과 향나무와의 관계 밝힘Takaki Goruku (1936-1937) 잣나무 털녹병Hiratsuka Naohaid 1935-1943: 조선 산수균: 우리나라 녹병균 203 종임업시험장 (1940) : 선만실용입업편람 수목병 92 종 버섯 163 종 수록Hemmi Takeo (1943): 식물불류지리, septoria를 비롯한 14 종의 병원균 동정“조선 삼림식물병원균의 연구” (최초의 균학적 연구) 1956: 측백나무에 기생하는 병원성 pestalotia에 관한 연구1958 한국의 진균성 식물병 목록1959 포.. 2025. 1. 23.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