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67

도감 우리주변의 대표적인 교목 침엽수 (상록수편) 침엽수 도감 우리주변의 대표적인 교목 침엽수  침엽수는 사계절 푸른 잎을 유지합니다.침엽수도 상록 (겨울에도 잎이 붙어 있음) 이 있고 낙엽 침엽수가 있습니다.교목은 키가 큰 나무를 말하고 그 반대는 교목침엽수가 있습니다.오늘 소개 드릴 내용은 침엽수- 상록수- 교목입니다. 다음에 침엽수 상록수 이지만 관목을 소개 해 보겠습니다. 다양한 환경에서 생육하는 중요한 수종입니다. 이 블로그에서는 교목 침엽수의 기본 정보와 생육 환경을 정리하여 학습에 도움을 주고자 합니다. 한국 자생종과 조림수종을 중심으로, 자연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구상나무 (Abies koreana) 🌲📌 기본 정보• 학명: Abies koreana• 속: 전나무속 (Abies)• 높이: 10~18m (최대 25m).. 2025. 2. 9.
식물의 가해 흔적을 보고 해충 알아 맞히기 식물의 가새 흔적으로 보면 대강 어떤 해충인지 파악할 수도 있습니다.  식물에게 해를 입히는 해충들은저마다 다 좋아하는 부분이 있습니다.어떤 녀석들은 잎을 가해하구요.이것을 식엽성 해충이라고 합니다.또는 줄기와 가지만 공격하는 녀석들도 있지요.어떤 놈은 구멍을 만듭니다. 이를 천공성 해충이라고 합니다.어떤 놈들은 열매나 종자 같은 것을 공격합나디또는 곤충이나 진균, 박테리아, 바이러스 등의 생물체가식물에 있는 조직을 자극하여혹처럼 부풀어 오르게 만드는 구조 도 있습니다. 이를 충영성 해충이라고 부릅니다.   잎을 가해(식엽성 해충)인생전체가 잎을 가해유충과 성충일 때  모두 잎만 가해• 잎벌레류• 무당벌레류• 방패벌레류• 매미충류• 선녀벌레류• 매미류• 나무이류• 진딧물류• 응애류• 느티나무벼룩바구미특징.. 2025. 2. 8.
수목해충 천적관계 우리가 수목을 가꿀때면 화학적방제 말고도 자연적으로 방제 할 수가 있겠지요. 바로 천적을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오늘은 천적관계 해충을 알아보겠습니다. 이세리아 깍지벌레- 배달리아 무당벌레솔나방- 송충알벌  송충알벌은 솔나방 애벌레(송충이) 몸속에 알을 낳음. • 부화한 송충알벌 유충이 송충이의 체액과 조직을 먹으며 성장. • 일정 시간이 지나면 송충이의 몸을 뚫고 나오면서 숙주는 결국 죽음. 밤나무 혹벌--> 남색긴꼬리 좀벌, 노란꼬리 좀벌, 큰다리남색좀벌, 배잘록꼬리좀벌, 상수리좀벌, 기생파리류. 밤나무 혹벌의 천적과 방제 과정 1. 남색긴꼬리좀벌 (Torymus sinensis) • 밤나무 혹벌의 유충 속에 알을 낳아 기생하며, 유충을 내부에서 먹고 성장함. • 천적 방제용으로 가장 많이 연구되고 활.. 2025. 2. 8.
곰팡이, 세균, 파이토플라스마, 바이러스, 선충 한꺼번에 비교 곰팡이, 세균, 파이토플라스마, 바이러스, 선충  한꺼번에 비교  이 다섯 가지 생물체를 구조, 증식 방식, 대사 가능 여부, 크기 등의 기준으로 비교했습니다.📊 1. 핵심 비교표식물 병원체: 곰팡이 (Fungi) 세균 (Bacteria) 파이토플라스마 (Phytoplasma) 바이러스 (Virus) 선충 (Nematode) 구분곰팡이 (Fungi)세균 (Bacteria)파이토플라스마 (Phytoplasma)생물 분류진핵생물 (Eukaryote)원핵생물 (Prokaryote)원핵생물 (세포벽 없는 박테리아)세포 구조✅ 있음 (핵, 세포막, 세포벽)✅ 있음 (세포막, 세포벽)✅ 있음 (세포막, 세포벽 없음)핵 보유 여부✅ 있음❌ 없음❌ 없음유전 물질DNADNADNA단백질 합성 기구 (리보솜)✅ 있음✅ 있.. 2025. 2. 2.
나무의사 시험 대비! 해충 학명 쉽게 외우는 암기법 정리 곤충 학명, 어렵지 않아요! 암기법 & 어원 정리나무의사 시험을 준비하면서 가장 어려운 부분 중 하나가 곤충 해충의 학명을 외우는 것입니다. 학명은 라틴어나 그리스어에서 유래되었기 때문에 익숙하지 않으면 쉽게 까먹을 수 있죠.이번 포스팅에서는 주요 곤충 해충 학명과 의미, 그리고 쉽게 외우는 암기 팁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맨 밑에 암기카드 활용하시면서 도움되시길. 해충명종명, 속,암기팁솔나방 Dendrolimus spectabilisDendro: 곤충솔잎혹파리 Thecodiplosis japonensisThecoo :두께,껍질혹을 연항대벌래Ramulus irregulariter dentatusRamus: 가지불규칙: irregular도토리거위벌레 Cyllorhynchites ursulus주둥이 곰Cy.. 2025. 1. 31.
녹병균의 생활사 녹병균의 생활사 녹병은 기도도 있고 중간기주라는 것도 있다. 보통 기주에서 계속 병을 만들어 내는데 반해, 녹병은 기주에서 중간기주로 갔다가 또 기주로 보내고 이런 식으로 계속 반복 된다.이렇게 반복되는 생활사를 계속 하는 것이 녹병의 특징이다.만약 중간기주가 없으면 살아남을 수 없다. 무조건 기주와 중간기주가 있어야 한다. (예외는 나중에 따로)기주와 중간기주가 나눠지는 기준은 (경제적으로 기주가 좀더 중요한 것 그리고 덜 중요한 것은 중간기주 로 봄- 예) 잣나무 털녹병 기주 잣나무, 중간기주- 송이풀) 녹병균의 생활사 녹병정자(n)--> 녹포자 (n+n) ---> 여름포자(n+n)---> 겨울포자(2n) ---> 담자포자(n) 기주에서 녹병정자를 만드는 데 녹병정자 기에서 기주를 만듬. 이것은 플라.. 2025. 1. 31.
곰팡이에 의한 수목병해- 잎 병해에 관하여(나무의사) 곰팡이에 의한 수목병해- 잎 병해A.잎병해- 불완전균류-  총생균강에 의한 병B. 잎병해- 불완전균류 (유각균강) 에 의한 병 잎병의 대부분은 불완전 균류에 의해 발생된다. 불완전균류인데도 유성세대가 있는 경우가 있다. 그럼에도 자냥균 담자균 등으로분류 되지  않은 경우도 있다.  유성세대가 아직 구체적으로 확실하게 정립을 안내렸기에 아직 불완전 균류로 남아있다. 그러면 적어도 기본서에는 무성세대만 이름이 있어야 되지 않을 까 그럼에도 기본서에는 유성세대에 가 적혀있다. 그러므로 불완전 세대를 외울때 유성세대가 나오면 그냥 그것(교재대로) 대로 인정을 하고 외우자.  어짜피 기본서대로 출제되므로 그것을 감안 잎병해 - 불완전 균류> 총생균강 과 유각균강 나뉜다. 1. 유각균강은 분생포자 반 또는 분생포자.. 2025. 1. 30.
수목의 줄기 병해(난이도 상) 수목의 줄기 병해 난이도 상  밤나무줄기 마름병 자낭균문 각균강Cryphonectria 밤나무림수피를 뚫고 들어가서 수피 안쪽에 자좌라는 균사조직 플라스크 모양을 만듦 이안에서 자낭을 키움다. 그 위가 뽕 뚫리면서 분출 황살색- 적갈색 병반을 형성. 수피 안쪽에 자낭 자좌--> 자낭각 형성--> 밖으로 나옴 수피 제거 하면 황색의 두춤한 균사판이 당연히 있겠지. 저항성 품종(이평, 은기) 감수성 품종(옥광) 이 있다. 이평은 저항성 밤나무 혹벌에도 저항성, 옥광도 밤나무 혹벌에는 저항성, 방제 저병원성 균주인 dsRNA 바이러스가 생물적 방제로 이용됨. 저병원성 균주란 말은 dsRNA라는 바이러스가  밤나무줄기 마름병 균사와 합쳐져서 유전적으로 변화가 일어나 방제효과가 일어남. 일본 및 중국 밤나무 종은.. 2025. 1.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