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67

식물도 건강검진이 필요하다? 병원체 진단법 총정리 식물 진단법의 종류:  육안관찰, 배양적진단, 생리화학적 진단, 해부학적 진단, 현미경적 진단, 면혁학적(혈청학적 진단), 분자 생물학적 진단 가. 육안관찰: 맨눈으로 관찰 나. 배양적 진단: 조사를 하다 보니 죽었다 그럼 번거로움을 없애기 위해 인위적으로 병원체들을 증식시키는 것이 배양이다. 1. 여과지 습실처리법병징이나 표징이 나타나지 않을 때 사용수입종자 검역시 가장 많이 사용한다멸균된 페트리접시에 여과지를 2 장 넣고 멸균 수로- 여과를 시킨다는 말은 걸러낸다는 의미다. 멸균수로 적시는데 이것은 무균의 물을 의미함. 거기에 병든 식물체를 올려두고. 그럼 3-7일 뒤에 물과 혼합이 되는데 물들은 가라앉고 미생물 증식이 일어남 그것을 관찰하는 것- 다시 이야기해서 먹을 것을 그대로 가져와서 키우는 방.. 2025. 1. 25.
우리나라 수목병의 역사 및 연구 수목병의 역사 하티그: 균사 수목병의 아버지라 불림, 균사와 자실체와의 관계가 처음으로 밝혀짐 우리나라 수목 병리학의 발달 서유구(1764-1845) : 행포지, 배나무 붉은 별 무늬병과 향나무와의 관계 밝힘Takaki Goruku (1936-1937) 잣나무 털녹병Hiratsuka Naohaid   1935-1943: 조선 산수균:  우리나라 녹병균 203 종임업시험장 (1940) : 선만실용입업편람   수목병 92 종 버섯 163 종 수록Hemmi Takeo (1943): 식물불류지리,   septoria를 비롯한 14 종의 병원균 동정“조선 삼림식물병원균의 연구” (최초의 균학적 연구) 1956: 측백나무에 기생하는 병원성 pestalotia에 관한 연구1958 한국의 진균성 식물병 목록1959 포.. 2025. 1. 23.
농약 살균제 작용기작 별 종류 (나무의사) 살균제 작용기작 별 종류  가(1~4): 핵산 합성 저해 나(1~6): 세포분열 (유사분열)(유사분열) 저해 :  미세소관 형성을 억제하여 세포분열을 차단. 포자발아, 균사신장, 포자형성을 방해, 세포 내 골격형성 저해다(1~8): 호홉 저해, 에너지 생성 저해: 세포 내 미토콘도리아에서 일어나는 호흡, ATP 합성방해라(1~5): 아미노산 단백질 형성 저해, (리보솜에 서 단백질 합성됨)마(1~3): 신호 전달 저해 : 세포 내 신호 전달을 차단하여 병원균의 생리적 활동 억제.바(2~9): 지질생합성 및 막기능 저해 : 세포막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지질 합성을 방해.사(1~4): 막에서 스테롤 생합성 저해: 세포막에서 필수성분인 스테롤 합성을 방해아(3~5): 세포벽 생합성 저해: 세포벽 형성에 관여하는.. 2025. 1. 22.
(농약) 살균제의 종류 농약중에 살균제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보호살균제, 직접살균제, 토양살균제, 종자소독제, 과실방부제(저장병 방제제)  1. 보호살균제이것은 예방이 목적입니다 포자가 못 달라붙게 하거나 아니면 포자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데요.포자가 발생되기 전 살포합니다. Tip) 보호 살균제는병원균의 포자가 발아하여 식물의 체내로 침투하는 것을 막기위해 사용됨(예방)병이 발생되기 전에 사용예방이 목적이고 정확한 발병시점을 예측하기 힘드므로 약효가 길어야 함(조건)보호살균제는 이미 발생한 균사등에 대한 살균력은 낮다. 그래서 일단 발병하면 약효가 떨어진다.   보호 살균제의 종류는무기 구리제: 보르도액, 코퍼옥시클로라이드, 코퍼하이드록사이드유기구리제: 옥신 코퍼, 프로클로라이즈코퍼클로라이드무기유황제: 결정.. 2025. 1. 19.
암반응(광합성2)에 대해 설명 오늘 이야기할 것은 식물의 광합성으로 이루어지는 암반응이라는 것입니다. 광합성의 작용중 광반응 말고 또 다른 하나의 반응입니다. 암반응은 = 캘빈회로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이 암반응을 통해서 광반응으로 만들어진 다음 에너지를 드디어 사용하기 시작합니다. 바로 ATP 에너지와 NADPH 를 CO2와 반응시켜 식물에게 필요한 탄수화물을 합성하는 과정입니다. 암반응 과정을 살펴보기 전에 먼저 암반응의 특징을 알아볼게요암반응의 특징 엽록체내에서 엽록소가 없는 스트로마라는 곳에서 암반응이 일어납니다. (단 조건은 APT와  NADPH 가 있을 때만 일어남. 낮과 밤에 모두 일어날 수 있음)                                                                      .. 2025. 1. 19.
산공재, 환공재의 특징 산공재와, 환공재의 특징을 말씀드려보겠습니다. 산공재:춘재와 추재의 도관의 크기가 거의 같습니다. 같다고 보시면 됨 산공재의 대표 주요수종들은요?단풍나무, 벚나무, 자작나무입니다.     얘네들은 가을에 잎이 떨어지며 아름답지요?또한 칠엽수와 목련이 있는데 얘네들인 꽃이 이뻐서 관상용으로 많이 쓰지요.   양버즘나무와 포플러 있습니다.이녀석들은 빠르게 자라지요, 또한 가볍습니다.                                    양버즘나무                                                                                           포플러  피나무: 부드러운 목재로 조각이나 가벼운 가구에 많이 씁니다.  이에 반해 환공재의 특.. 2025. 1. 17.
(나무) 유한, 무한, 고정, 자유 생장 수종별 정리 유한생장을 하는 수종유한생장은: 정아가 줄기의 생장을 제한 조절하는 것을 말하며유한생장수종은 소나무, 참나무, 가문비 나무, 주목, 이있다. 무한생장죽은 정아대신 측아가 역할을 담당하여 이듬해 봄 자라는 것을 말하며 scar(상처) 흔적이 있음. 무한 생장수종: 자작나무, 서어나무, 버드나무, 버즘나무, 아까시나무, 피나무, 느릅나무    고정 생장을 하는 수종소나무, 참나무, 가문비나무, 너도밤나무, 잣나무,솔송나무, 동백나무  자유생장특징:  이엽지과수, 사과나무, 포플러, 은행나무, 낙엽송, 주목, 자작나무, 메타세쿼이어, 버즘나무, 벚나무, 느티나무, 단풍나무 특이생장 유묘시기때는 자유생장, 후에는 고정생장으로 변함가문비나무, 은행나무, 포플러류 2025. 1. 17.
줄기생장에서 형성층에 관해 정리 줄기생장에서 형성층에 관한 설명사부가 목부보다 먼저 형성된다.옥신 / 지베를린 (옥신: 지베를린 함유비율) 이 높으면 목부를 생산하고 그 반대이면 (낮으면) 사부를 생산하다. 유관속 형성층이 생산하는 목부의 생산량은 항상 사부의 생산량보다 많다. 환경에 차이에 따라 목부의 생산량은 차이가 극심형성층의 생장 특성옥신에 의해 조절 된다. 옥신은 식물의 정단부에서부터 아랫방향으로 생성됨수고 성장을 한 다음에도 직경생장은 계속 될 수 있다.봄에 직경생장과 수고 성장이 같이 진행된다.수고 생장은 멈추더라도 직경생장은 계속 간다. 상록활엽수는 사계절 내내 물질대사를 한다. 2025. 1.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