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59

농약의 핵심 원리: 세포 호흡을 멈추면 모든 것이 멈춘다 농약은 여러 작용기작이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다' 계열은 세포의 호홉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것들인데요. 오늘은 그것들을 알아보겠습니다.생물의 에너지 공장, '미토콘드리아'사람이든, 곤충이든, 식물 병원균이든 모든 살아있는 생물은 세포 안에 **'미토콘드리아'**라는 작은 에너지 공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공장에서 영양분을 사용해 ATP라는 최종 에너지를 만들어내야 살아갈 수 있습니다.이 에너지 공장은 여러 단계의 컨베이어 벨트(생산 라인)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것이 바로 사진에 나오는 '복합체(Complex) I, II, III, IV' 등입니다.농약의 작동 원리: 에너지 공장 파괴!사진 속 농약들은 이 에너지 공장의 특정 생산 라인을 멈추게 하는 '방해꾼' 역할을 합니다.1. 생산 라인 초반을 공.. 2025. 6. 23.
농약 살균제 작동원리 (나 계열) 다음은 농약의 살균제 계열 중 나 계열에 관한 설명을 해보았습니다. 살균제 작용 원리 설명 (나1~나6)나1: 미소관 (microtubule)생합성 저해 (벤지미다졸계)원리: 식물 병원균(곰팡이 등)은 세포 내에 '미소관'이라는 작은 관 모양의 구조물을 가지고 있어요. 이 미소관은 세포 분열, 영양분 이동 등 세포가 살아가고 번식하는 데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벤지미다졸계 살균제는 이 미소관이 만들어지는 것을 방해해요.알기 쉽게: 곰팡이가 세포를 복제하고 자라려면 뼈대와 같은 미소관이 필요한데, 이 살균제는 그 뼈대가 만들어지는 것을 막아서 곰팡이가 더 이상 자라거나 번식하지 못하게 하는 겁니다. 집을 짓는데 기둥을 못 세우게 하는 것과 비슷하다고 생각하시면 돼요.예시: 카벤다짐, 티오파나트메틸 .. 2025. 6. 20.
초보 식집사를 위한 곰팡이 병 스터디 노트 헷갈리는 식물 병원균, 포자(난균, 접합균, 자낭균, 담자균)안녕하세요! 식물 집사, 도시 농부, 그리고 미래의 농업 전문가 여러분.오늘은 식물을 병들게 하는 주범, 곰팡이에 대해 제가 공부한 내용을 정리해볼까 합니다. 이름도 비슷하고 종류도 많아서 늘 헷갈렸는데, 특히 포자(spore)를 중심으로 분류해보았지요. 제가 공부한 키워드는 #난균강 #유주포자 #접합포자 #자낭포자 #담자포자 그리고 자낭균의 디테일한 특징인 #자낭각 #자낭구 #자낭반입니다. 저와 함께 곰팡이의 세계로 떠나볼까요?1. 곰팡이인 듯 곰팡이 아닌 너, 난균강(Oomycetes)가장 먼저 저를 혼란스럽게 했던 친구입니다. 이름에 '균'이 들어가지만 사실 현재 분류 체계상 진균(Fungi), 즉 진짜 곰팡이가 아닌 난균류(Oomycet.. 2025. 6. 17.
나무 이식 방법: 나근, 옹기묘, 근분 간단 정리 이식이 가장 좋은 시기는초봄 동아가 트기 2-3 주 전에 실히를 하며, 뿌리가 발육하기 전에 실시하는 것이 좋다. 동아는 식물이 목본식물이나 다년생 초본식물이 겨울을 만들기 위해 만드는 눈(싹)임 이식 방법은 뿌리 상태에 따라 나근법, 근분법, 동토법, 기계법으로 나뉜다.2 년 전부터 수간 직경의 4 배 되는 곳에 원형 구덩이를 파고 뿌리 돌림을 해두어 세근이 발달하도록 유도 한다 나무를 이식할 때 뿌리분(Root ball) 관리1. 나근 (Bare root)조건: 근원경이 5센치 미만의 활엽수이거나 봄에 이식할 때 주로 사용2. 옹기묘(Container)뿌리가 용기안에서 꼬이는 현상이 발생하면 생장에 장애를 가져 오ㄹ 수 있다. 3. 근분묘이것은 뿌리에 흑을 붙여서 이식하는 방식이며, 뿌리분의 형태와.. 2025. 6. 12.
여름철 수목 병해충 깍지벌레, 응애 퇴치법 여름철 수목 병해충 깍지벌레, 응애 퇴치법여름 내새끼 같은 수목들이 갑자기 시들고 검은 반점이 생기면 나도 힘이 빠집니다. 그래서 수목 병해충 어떤것이 있는 지 알아보고 예방 조치 및 치료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끈질긴 깍지벌레와의 전쟁이놈은 절지동물문 곤충강 노린재목 깍지벌레상과에 속하는 곤충 인데요. 식물에 이놈이 착 달라 붙어 식물의 즙을 빨아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것을 그대로 두면 식물이 말라죽는 다고 합니다. 그리고 그을음 병을 발생시킵니다.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녀석은 이세리아깍지벌레 라고 하는 녀석입니다. 특징: 나뭇가지나 잎에 하얀 솜털 같은 덩어리나 갈색 딱지처럼 붙어 수액을 빨아먹습니다. 초기에는 잘 보이지 않아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습니다. 일딴 뿌리쪽에서 한얀 점들이 .. 2025. 6. 11.
🌳 참나무 시들음병 현황 및 드론 활용 예찰·방제 방안 (나무의사 진단) 🌳 참나무 시들음병 현황 및 드론 활용 예찰·방제 방안 (나무의사 진단) 안녕하세요. 최근 우리나라 산림에서 참나무 시들음병이 빠르게 확산하며 큰 피해를 주고 있습니다. 이 병은 참나무를 급속히 고사시켜 산림 생태계에 심각한 위협이 됩니다. 본 글에서는 참나무 시들음병의 최신 발생 현황과 함께, 병해충 예찰에 있어 드론이 어떻게 혁신적으로 활용되고 있는지, 그리고 효과적인 예방 및 방제 방안은 무엇인지 상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이 글을 통해 독자 여러분께서 참나무 시들음병으로부터 우리 산림을 지키는 데 필요한 실질적인 정보를 얻어가시길 바랍니다.🔍 증상 및 진단참나무 시들음병에 감염된 나무는 다음과 같은 특징적인 증상을 보입니다.건강한 잎이 갑자기 붉은 갈색 또는 황갈색으로 변하며 시들기 .. 2025. 6.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