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63

나무의사 모의고사 (병리학 1) 출처 신고 수목 병리학 4 판 page 88- 181 페이지 내용 수목병해(곰팡이) 복습 퀴즈진행도 퀴즈를 시작할 준비가 되었습니다.학습할 PDF의 텍스트를 채팅창에 붙여넣어 주세요.제가 분석해서 이 곳에 퀴즈를 만들어 드릴게요! 해설 이전 다음퀴즈 완료!총 문제 중 문제를 맞혔습니다.다시 풀기 2025. 8. 24.
나무의사 수목병 및 병원체 진단방법 나무의사 시험 대비 식물병 진단법 핵심 요약 노트[11회 기출]- 병리학4. 수목 병 및 병원체 진단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① 습식 처리법은 곰팡이 감염이 의심될 때 주로 사용한다.② 광학현미경으로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봉입체를 관찰할 수 있다.③ 곰팡이에 의한 병 중에도 '코흐의 원칙'을 적용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④ 면역학적 진단을 하려면 대상 병원체에 대한 항혈청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⑤ 썩고 있는 뿌리를 DAPI로 염색하여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하면 감염 여부를 알 수 있다.수목의 병 및 병원체 진단법 1. 형태학적 진단 (눈 또는 현미경)육안 진단외부 병징: 모자이크, 위축, 오갈병(잎 쭈글쭈글) 등 관찰내부 병징: 줄기 절단 후 도관, 조직의 변색 확인 (주로 세균, 곰팡이)병원체 징.. 2025. 8. 13.
(나무의사) 병원체의 종류와 증상 점무늬 (Leaf Spots)잎이나 줄기에 반점이 생기는 증상으로, 가장 다양한 병원체가 원인이 됩니다.곰팡이 (Fungi) 🍄: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탄저병, 갈색무늬병처럼 균사가 조직을 파괴하거나 독소를 내뿜어 세포를 죽여 반점을 만듭니다.세균 (Bacteria) 🦠: 잎의 기공 등으로 침입해 세포 사이에서 증식하며, 조직이 물에 젖은 듯한 반점(수침상)을 만들다가 결국 괴사시킵니다.바이러스 (Viruses) 🧬: 세포 내에서 증식하며 엽록소를 파괴하거나 세포 변형을 일으켜 원형의 무늬(윤문)나 얼룩덜룩한 모자이크 반점을 만듭니다.혹 (Galls & Tumors)식물 조직이 비정상적으로 부풀어 오르는 증상입니다.세균 (Bacteria) 🦠: **뿌리혹병(근두암종병)**이 대표적입니다. 세균이.. 2025. 8. 13.
나무의사 병리학: 주요 병원체별 수목병 총정리 나무의사 병리학: 주요 병원체별 수목병 총정리수목은 다양한 생물학적 요인에 의해 질병을 겪습니다. 나무의사로서 정확한 진단과 처방을 위해서는 각 병원체의 특성과 그로 인해 발생하는 병의 종류를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주요 병원체는 크게 균류(곰팡이), 세균, 바이러스, 파이토플라스마, 선충, 기생식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나무의사 기출11회 관련)1. 균류 (Fungi)에 의한 병균류는 수목병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나무를 공격합니다. 균류는 다시 담자균, 자낭균, 난균 등으로 구분됩니다.가. 담자균 (Basidiomycetes)에 의한 병버섯을 형성하는 경우가 많으며, 주로 목재부후나 뿌리썩음, 녹병을 일으킵니다.목재부후병 (Wood Decay): 살아있는 나무의 .. 2025. 8. 13.
도시 및 조경 식재에서의 광환경 고려: 음수/양수 특성 기반 식재 설계 및 관리 (수목관리학 관점) 도시 및 조경 식재에서의 광환경 고려: 음수/양수 특성 기반 식재 설계 및 관리 (수목관리학 관점)본 내용은 이경준, 이승재 저자의 '조경수식재관리기술' 교재를 중심으로 재구성하여 작성되었습니다. 도시 및 조경 환경은 다양한 인공 구조물과 기존 수목 등으로 인해 미세 기후, 특히 광환경의 변화가 극심한 공간입니다. 이러한 환경에서 수목 식재의 성공적인 활착과 장기적인 건강한 생육을 위해서는 각 수목이 가진 고유한 광요구도 특성, 즉 음수와 양수 특성을 정확히 이해하고 식재 계획 수립 및 식재 후 관리에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이는 수목 생리 및 수목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할 나무의사의 핵심 역량 중 하나입니다.수목의 광요구도 특성: 음수와 양수수목은 광합성을 통해 에너지를 생산하.. 2025. 7. 15.
대생과 호생에 관해 식물 관찰의 첫걸음, 대생(對生)과 호생(互生)을 아시나요?안녕하세요! 식물과 함께하는 즐거움을 나누는 초록후니쌤입니다.무심코 지나치던 길가의 나무와 화단의 꽃들, 조금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저마다의 규칙과 질서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아시나요? 오늘은 식물의 종류를 구별하는 데 가장 기본이 되면서도 중요한 단서인 잎차례, 그중에서도 ‘대생(對生)’과 ‘호생(互生)’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이 두 가지 용어만 알아도 식물 관찰이 훨씬 더 재미있어질 거예요!마주 보고 자라요, 대생(對生)- 마주나기**대생(對生)**은 한자 뜻 그대로 ‘마주하여 난다’는 의미입니다. 식물의 줄기를 자세히 보면 하나의 마디에서 잎이 두 장씩 서로 마주 보고 자라는 형태를 말합니다. 우리말로는 ‘마주나기’라고 부르죠. 마치 .. 2025. 7. 14.
반응형